카테고리 없음

피임약 세대별 차이점 비교와 선택 팁

만덕이2 2025. 2. 18. 19:11
반응형

피임약이 처음 발명되었을 때 정말 획기적인 사건이었지요,

그러나 부작용 문제가 대두되면서 그걸 줄이기 위해 모색에 모색을 거듭랬지요 그 결과가 오늘날의 피임약입니다.

피임약의 세대별 차이는 사용되는 프로게스틴(황체호르몬) 성분이 다르며,

이로 인해 부작용과 효과에도 차이가 생겨나게 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각 세대별 피임약의 특징을 정리하고,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안내하겠습니다.

 

1세대 피임약

- 프로게스틴 성분: 노르에티노드렐 (Noretynodrel)

- 특징: - 에스트로겐 함량이 높아 부작용이 많습니다. (구토, 두통, 체중 증가, 혈전 위험 증가)

- 초기 개발된 피임약으로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2세대 피임약

- 프로게스틴 성분: 노르에티스테론(Norethisterone), 레보노르게스트렐(Levonorgestrel)

- 특징: - 에스트로겐 함량이 낮아 부작용이 감소했습니다.

- 혈전증 위험이 낮고, 안전하고 효과적이어서 현재에도 사용 중이나 장기 복용 시 체중증가, 여드름 등의 부작용이 있습니다.

- 대표적인 제품**: 마이보라, 에이리스

 

3세대 피임약

- 프로게스틴 성분: 데소게스트렐(Desogestrel), 게스토덴(Gestodene), 노르게스트리민(Norgestimate)

- 특징: - 여드름 개선 효과가 있으며, 남성호르몬 유사 작용이 적습니다.

- 체중 증가 부작용이 적지만, 혈전 위험은 2세대보다 약간 증가합니다.

- **대표적인 제품**: 머시론, 멜리안, 센스데이, 센스리베

 

4세대 피임약

- 프로게스틴 성분: 드로스피레논(Drospirenone)

- 특징:  부종과 체중 증가를 줄이는 이뇨 작용이 있습니다.

- 여드름과 피지 분비 감소 효과가 있으며, 다낭성난소증후군(PCOS) 치료에도 사용됩니다.

- 하지만 혈전 위험은 3세대와 비슷합니다.

- 대표적인 제품: 야즈(Yaz), 야스민(Yasmin)

 

결론 및 요약

피임약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2세대(레보노르게스트렐): 체중 증가, 여드름 등 부작용 있으나 혈전 위험성 낮음.

- 3세대(데소게스트렐, 게스토텐 등): 여드름 개선 효과가 있지만, 혈전 위험이 약간 증가.

- 4세대(드로스피레논): 여드름 개선과 부종 완화에 효과적이나 혈전 위험이 있음. 전문약.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