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이야기 47

독감과 약국 한방약 응용팁

독감의 계절이 되었습니다. 올해는 8년만에 독감이 대유행을 한다고 하네요.이미 서울과 경기 충청권에 독감환자가 지난주 부터 전주 대비 10배나 증가했다고 한다. 독감의 치료는 우리 몸이 바이러스를 이겨서 끝을 내는 방식이지요.그래서 별다른 약을 쓰지 않고 대증적으로, 열이나면 해열제, 기침이 나면 기침약, 이렇게 대응하는 것이 통상적인 대응 메뉴얼입니다. 그리고 더 심하거나 노약자들에겐 타미플루나 조플루자 같은 항바이러스 약을 투여하기도 합니다. 옛날에도 독감은 있었을 터이니 그 당시 선조들이 써왔던 처방들을 중심으로 요즘도 사용가능한 처방들을 봅시다. 1. 갈근탕갈근탕은 옛날 선조들이 독감에 많이 썼던 처방입니다.으슬 으슬 한기가 드는 증상이 있고 두통 몸살이 있으면 씁니다, 뒷목과 승모근이 딱딱해지고..

건강이야기 2025.01.09

펜잘, 게보린 등 복합진통제의 사용법

아주 오래전 대학에서 약물학을 배울때 들은 이야기가 지금도 통할지는 모르지만,그 당시 두통약의 3가지 원칙은 첫째 두가지 이상의 진통제를 병용할것, 둘째 카페인을 쓸것, 그리고 신경안정제를 쓸것 이 세가지였습니다.그 이후 약국에 근무를 하면서 두통 등에 쓰이는 진통제를 보니 이 세가지 원칙이 잘 지켜져 있었지요.당시 펜잘의 레시피는 아세트아미노펜, 안티피린, 카페인, 알릴이소프로필우레아(진정제) 였고,그 중에 진정작용이 있는 약들은 몇 종류가 있었는데 언제 부턴가 이런 종류는 빠지고 세가지 약만 주 성분으로 표기되어 출하되기 시작했습니다. 아마도 신경안정제류의 부작용 때문에 정리되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그 전에도 에이피씨라는 약이 전세계적으로 많이 팔린 상표였는데 이 에이피씨는 에이는 아스피린, 피는 파..

건강이야기 2025.01.07

탁센과 부루펜 비교 (편두통에 대하여)

소염진통제 중에 편두통의 적응증을 가진 것은 니프록센(탁센, 확펜 등)제제들입니다.이부프로펜(ibuprofen)과 나프록센(naproxen)은 모두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로 염증과 통증을 줄이는 데 유사한 작용 기전을 가지지만, 나프록센이 편두통에 더 효과적인 이유는 약리학적 특성과 약물 동태학(약동학)의 차이에 기인합니다.1. 약물의 작용 지속 시간탁센(나프록센): 반감기가 12~17시간으로, 장시간 작용하여 염증 억제 및 통증 완화 효과를 더 오랫동안 유지합니다.편두통은 발작이 몇 시간에서 며칠까지 지속될 수 있으므로, 나프록센의 긴 작용 시간이 편두통의 통증 완화에 더 적합합니다.부루펜(이부프로펜): 반감기가 2~4시간으로, 효과 지속 시간이 짧아 편두통 발작이 길게 이어지는 경우 ..

건강이야기 2025.01.06

무좀약 두 가지 교차로 쓰는 지혜

여름에 찾아오는 무좀(족부백선)은 발 피부와 발톱에 생기는 곰팡이 감염으로, 가려움증, 피부 갈라짐, 발톱 변색과 같은 증상을 유발합니다. 무좀 치료에는 다양한 항진균제가 이있지만, 크게 카네스텐으로 알려진 이미다졸계 항진균제와 라미실로 익숙한 테르비나핀계 항진균제가 있습니다. 이 두 계열의 약물은 작용 기전, 치료 범위, 효과 속도 등에 차이가 있어 무좀의 유형과 상태에 따라 선택해야 합니다. 이번에는 두 약물 계열의 특징과 선택 가이드를 살펴보겠습니다.이미다졸계 항진균제1. 주요 성분 및 기전이미다졸계 항진균제는 진균 세포막의 주요 성분인 에르고스테롤(Ergosterol) 합성을 억제하여 세포막 구조를 손상시킵니다. 대표적인 약물로는 클로트리마졸(Clotrimazole), 미코나졸(Miconazole..

건강이야기 2025.01.04

치질약, 약국에서 자주 찾는 6가지 효과와 사용법

"말못하는 치질"이라는 옛날 광고가 무색하게 요즘은 치질약 광고가 요란합니다.^^그래도 아직 우리 정서에는 어쩐지 숨기고 싶은 것으로 남아있는 것 같아요.이번엔 약국에 준비된 치질약은 과연 어떤 것들이 있으며 어떻게 쓰며, 효과는 어떤지 알아봅시다. 치질약은 크게 먹는 약과 바르는 약이 있는데요, 바르는 약은 다시 연고와 좌약으로 나뉩니다.오늘은 먹는 약 세 가지, 외용약 세 가지만 선별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 치센, 프라디오, 메디오스  ● 성분 : 디오스민 300mg  ● 용법 : 하루 2번 아침 저녁 1알씩 식후 복용  ● 효능 및 설명 : 디오스민은 치질과 정맥질환에 가장 널리 쓰이는 성분으로 식물에서 추출하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에서 유래된 성분입니다. 통상적으로 300mg씩 2회 복용하기도 하..

건강이야기 2025.01.01

피크노제놀의 7가지 효능

피크노제놀에 대해 아직은 좀 생소하게 느껴질지는 모르겠네요. 프랑스 남부에서는 거의 불로초 처럼 불리울 정도라는데요 우리나라에도 한 건강 기능식품 회사에서 제품을 만들어 내고 있군요.피크노제놀을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항산화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항산화제란 인체 전반에 대해 퇴화를 막아주기 때문에 어떤 특정 질환만 갖고 효과를 재기 힘든 애매한 면이 있습니다. 아래에 언급할 7가지 기능도 편하게 정리해서 7가지이지 세밀하게 나누면 더 많아질 수도 있겠지요. 1. 항산화 작용근거: 피크노제놀은 플라보노이드, 프로안토시아니딘(Proanthocyanidins) 같은 항산화 성분이 풍부합니다. 이는 활성 산소(자유 라디칼)에 의한 세포 손상을 방지하며, 노화와 만성질환의 주요 원인인 산화 스트레스를 감..

건강이야기 2024.12.29

약국에 있는 강아지 고양이 구충제 심장사상충약

강아지 구충제는 내부 구충제와 외부 구충제로 나눌 수 있어요.동물마다 특성이 달라서 사람에게 쓰는 걸 개나 고양이에게 쓰는 것은 좋지 않고요, 일부 구충제들은 개에겐 되는데 고양이에겐 치명적인 것도 있어요. 강아지 구충제 이번에 깔끔하게 정리해봅시다. 1. 약국에서 구할 수 있는 강아지·고양이 구충제약국에서 구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구충제는 다음과 같습니다:내부 구충제 (경구제) 펜벤다졸 (Fenbendazole)상품명: 파나쿠어 (Panacur) (주로 수의사 처방 후 약국에서 제공 가능)주요 효과: 회충, 십이지장충, 편충, 촌충 제거.강아지와 고양이 모두 사용 가능.피란텔 파모에이트 (Pyrantel Pamoate)상품명: 컴포터블 캡슐주요 효과: 회충, 십이지장충 제거.주로 강아지용으로 사용.프라..

건강이야기 2024.12.28

마그네슘 - 눈 떨림과 변비에 각각 다른 선택

요즘 마그네슘을 눈 떨리거나 쥐가 날 때 많이 써요, 그런가 하면 병원에서는 변비약으로 마그네슘을 처방해주기도 합니다. 같은 듯 다른 마그네슘, 오늘은 그 차이를 한번 알아봅시다. 우선 변비약으로서의 마그네슘은 수산화 마그네슘을 위주로 씁니다, 제 앞선 변비에 관한 글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산화마그네슘(마그오)이나 수산화 마그네슘(마그밀)은 복용시 흡수율이 10% 미만이기 때문에 장에서 삼투압에 의한 수분 저류를 일으켜 변비를 해결할 수가 있게 됩니다.반면에 눈떨림이나 쥐가 날 때 복용하는 마그네슘은 흡수율이 좋아야 근육에 까지 전달되기 때문에 산화마그네슘 류는 적합하지 않습니다.1. 변비용 마그네슘과 흡수율마그네슘 산화물(Magnesium Oxide):흡수율: 매우 낮음 (약 4% 이하).주요 목적은 ..

건강이야기 2024.12.27

눈 영양제 만큼 효과있는 식품들 얼마나 먹어야 할까요

눈영양제 성분들도 당연히 자연에서 얻은 것들이지요, 자연에서 얼마나 얻을 수 있을지 궁금해 조사를 해봤어요.생각보다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들이 주변에 널려있고요 더불어 자연의 소중함이 느껴지네요.눈영양제에 대한 각 성분의 역할에 관해서는 저의 이전글 눈영양제 알아보기를 참조하세요 루테인과 지아잔틴의 주요 공급원1. 자연 식품에서 얻는 방법루테인과 지아잔틴은 주로 식물성 식품에서 풍부하게 발견됩니다. 다음은 대표적인 식품들입니다:녹색 잎채소(주로 루테인이 많이 들어있음)케일, 시금치, 콜라드 그린, 브로콜리 등은 루테인과 지아잔틴의 가장 풍부한 공급원입니다.케일 (1컵, 약 11mg의 루테인 함유)시금치 (1컵, 약 8mg)브로콜리 (1컵, 약 2mg)콜라드 그린 (1컵, 약 8mg)특히 케일과 시금치는..

건강이야기 2024.12.26

눈 영양제 루테인, 지아잔틴, 아스타잔틴 좀 더 깊이 알아보기

예전엔 눈 영양제라면 간유구를 떠올렸던 시절이 있었지요.이젠 눈에 대해 좀 더 많은 것들이 밝혀지면서 눈영양제도 그에 맞춰 다양하게 변하고 있어요.가장 많이 쓰이는 루테인, 지아잔틴 그리고 아스타잔틴을 좀더 상세하게 알아봅시다.식품으로 ㅇ이런 영양소들을 섭취하기는 저의 다음 글을 참조하세요. 1. 루테인 (Lutein)눈에 미치는 효과청색광 차단:루테인은 망막에서 청색광 필터 역할을 합니다. 청색광은 파장이 짧고 에너지가 높아 눈에 해로울 수 있는데, 루테인은 이를 흡수하여 망막 세포를 보호합니다.장시간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거나 자외선에 노출될 때 루테인이 부족하면 시력 저하 및 황반 변성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항산화 작용:루테인은 강력한 항산화제로, 활성산소를 중화해 눈 조직이 산화 스트레스로부터..

건강이야기 2024.12.26